김시원

Si Won Kim


김시원

Si Won Kim



김시원은 분명히 인간과 공존하지만 끝끝내 인간이 마음을 헤아릴 수 없는 비인간과의 느슨한 연결을 다룬다. 직접 탐조(探鳥) 활동을 하거나 새 주제 스터디에 참여하며 새들의 지저귐에 담긴 의미를 파악하려 하지만 결국 들을 수 없고(이해할 수 없고), 단지 함께 살아갈 뿐임을 깨닫는다. 인간과는 전혀 다른, 새들의 ‘먼 목소리, 조용한 삶(2022)’을 바라보는 것이다. 유리 창 밖으로 시선을 던지듯 유리 가루를 뿌리는 김시원의 작업은 그들에게 희미하고 가느다란 실처럼 뻗은 촉수를 내미는 작업이자, ‘느슨한 친척’이 되길 제안하는 하나의 몸짓이다.


1996년 출생 

서울에서 활동 


학력

2024 홍익대학교 도예유리과 석사 졸업

2021 홍익대학교 도예유리과 학사 졸업


주요 단체전

2024 은행나무로 1길, 진저 하우스/로파 서울, 서울

2024 Folktales: Timeless Space, 큐 아카이브, 서울

Born in 1996

Lives and works in Seoul


Education

2024 MFA Ceramics and Glass, Hongik University, KR

2021 BFA Ceramics and Glass, Hongik University, KR


Selected Group Exhibitions

2021 Eunhaengnamuro 1-gil, Ginger House/LOFA Seoul, Seoul, KR

2024 Folktales: Timeless Space, Q Archive, Seoul, KR


김시원은 분명히 인간과 공존하지만 끝끝내 인간이 마음을 헤아릴 수 없는 비인간과의 느슨한 연결을 다룬다. 직접 탐조(探鳥) 활동을 하거나 새 주제 스터디에 참여하며 새들의 지저귐에 담긴 의미를 파악하려 하지만 결국 들을 수 없고(이해할 수 없고), 단지 함께 살아갈 뿐임을 깨닫는다. 인간과는 전혀 다른, 새들의 ‘먼 목소리, 조용한 삶(2022)’을 바라보는 것이다. 유리 창 밖으로 시선을 던지듯 유리 가루를 뿌리는 김시원의 작업은 그들에게 희미하고 가느다란 실처럼 뻗은 촉수를 내미는 작업이자, ‘느슨한 친척’이 되길 제안하는 하나의 몸짓이다.

 


1996년 출생 

서울에서 활동 


학력

2024 홍익대학교 도예유리과 석사 졸업

2021 홍익대학교 도예유리과 학사 졸업


주요 단체전

2024 은행나무로 1길, 진저 하우스/로파 서울, 서울

2024 Folktales: Timeless Space, 큐 아카이브, 서울



Born in 1996

Lives and works in Seoul


Education

2024 MFA Ceramics and Glass, Hongik University, KR

2021 BFA Ceramics and Glass, Hongik University, KR


Selected Group Exhibitions

2021 Eunhaengnamuro 1-gil, Ginger House/LOFA Seoul, Seoul, KR

2024 Folktales: Timeless Space, Q Archive, Seoul, KR





mobile backgr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