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연우
Yeonwoo Yoon
윤연우는 자신과 주변을 관찰하며 감정과 상황을 이미지로 표현한다.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한 조형방법으로 태피스트리라는 오래된 직조기술을 사용하며 실로 점을 엮어 그려낸다. 주변 친구들을 그린 직조 인물화 모음집 《역할극》(2014, 독립출판)을 통해 물감과 붓의 흔적을 색면으로 도안화 하여 직물로 옮겨낸 직조 회화 작업을 시도했다. 두 번째 개인전 《재현의 재현》(2019, 예술공간집)에서는 곽수진 작가의 원화를 바탕으로 동물의 형태를 구상과 구성으로 표현하며 화가는 왜 재현하는가에 대해 질문했다. 세번째 개인전 《동굴의 오후》(2020, 금호갤러리)는 은둔하며 작업에 몰입했던 시간에 대한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했다. 직조 공예라는 행위의 축적을 통해 시간의 축적이 면적의 축적이 되는 단순하며 노동집약적인 수행 과정을 보여준다.
1986년 출생
광주에서 활동
개인전
2020 동굴의 오후, 금호갤러리, 광주
2019 재현의 재현, 예술공간집, 광주
2017 So Young, 광주극장, 광주
주요 단체전
2022 My Great 2022, 신세계갤러리, 광주
2021 무의식의 그림자, 드영미술관, 광주
2019 겨울동물원, 서울미술관, 서울
2019 시네마광주 인투 더 메모리, 롯데갤러리, 광주
스크리닝
2019 반복되는 밤, 예술공간집, 광주
출판
2019 Pumpkins, 독립출판, 광주
2014 역할극, 독립출판, 광주
Born in 1986
Lives and works in Gwangju
Solo Exhibitions
2020 Afternoon of the Cave, Gwangju
2019 Reproduction of Reproduction, Artspace House, Gwangju
2017 So Young, Cinema Gwangju, Gwangju
Selected Group Exhibitions
2022 My Great 2022, Shinsegae Gallery, Gwangju
2021 Shadow of the Unconscious, Deyoung Museum, Gwangju
2019 Winter Zoo, Seoul Museum, Seoul
2019 Cinema Gwangju Into the Memory, Lotte Gallery, Gwangju
Screenings
2019 Repeating Night, Artspace House, Gwangju
Publications
2019 Pumpkins, Self-Publishing, Gwangju
2014 Role Play, Self-Publishing, Gwangju
Waves and Boats, 2020, cotton yarn, 56 x 38 cm
파도와 보트, 2020, 면사, 56 x 38 cm Waves and Boats, 2020, cotton yarn, 56 x 38 cm
In the Forest 1, 2020, acrylic yarn, 115 x 85 cm
숲속에서 1, 2020, 아크릴사, 115 x 85 cmIn the Forest 1, 2020, acrylic yarn, 115 x 85 cm
In the Forest 2, 2020, acrylic yarn, 115 x 85 cm
숲속에서 2, 2020, 아크릴사, 115 x 85 cmIn the Forest 2, 2020, acrylic yarn, 115 x 85 cm
Cat Doll, 2020, acrylic yarn, 83 x 63 cm
고양이 인형, 2020, 아크릴사, 83 x 63 cmCat Doll, 2020, acrylic yarn, 83 x 63 cm
The Only Living Thing, 2020, acrylic yarn, 83 x 63 cm
유일한 생명체, 2020, 아크릴사, 83 x 63 cmThe Only Living Thing, 2020, acrylic yarn, 83 x 63 cm
《Afternoon of the Cave》(2020, Kumho Gallery) Installation view
《동굴의 오후》(2020, 금호갤러리) 전시 전경《Afternoon of the Cave》(2020, Kumho Gallery) Installation view
《Afternoon of the Cave》(2020, Kumho Gallery) Work video stills
《동굴의 오후》(2020, 금호갤러리) 작업 영상 스틸《Afternoon of the Cave》(2020, Kumho Gallery) Work video stills
《Afternoon of the Cave》(2020, Kumho Gallery) Work video stills
《동굴의 오후》(2020, 금호갤러리) 작업 영상 스틸《Afternoon of the Cave》(2020, Kumho Gallery) Work video stills
Squirrel, 2019, cotton yarn, each 74 x 55 cm
청설모, 2019, 면사, 각 74 x 55 cmSquirrel, 2019, cotton yarn, each 74 x 55 cm
Squirrel (Original Image Soojin Gwak), 2018, cotton yarn, 41 x 21 cm/ Squirrel, 2019, cotton yarn, 41 x 21 cm
청설모 (원화 곽수진), 2018, 면사, 41 x 21 cm/ 청설모, 2019, 면사, 41 x 21 cmSquirrel (Original Image Soojin Gwak), 2018, cotton yarn, 41 x 21 cm/ Squirrel, 2019, cotton yarn, 41 x 21 cm
윤연우는 자신과 주변을 관찰하며 감정과 상황을 이미지로 표현한다.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한 조형방법으로 태피스트리라는 오래된 직조기술을 사용하며 실로 점을 엮어 그려낸다. 주변 친구들을 그린 직조 인물화 모음집 《역할극》(2014, 독립출판)을 통해 물감과 붓의 흔적을 색면으로 도안화 하여 직물로 옮겨낸 직조 회화 작업을 시도했다. 두 번째 개인전 《재현의 재현》(2019, 예술공간집)에서는 곽수진 작가의 원화를 바탕으로 동물의 형태를 구상과 구성으로 표현하며 화가는 왜 재현하는가에 대해 질문했다. 세번째 개인전 《동굴의 오후》(2020, 금호갤러리)는 은둔하며 작업에 몰입했던 시간에 대한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했다. 직조 공예라는 행위의 축적을 통해 시간의 축적이 면적의 축적이 되는 단순하며 노동집약적인 수행 과정을 보여준다.
1986년 출생
광주에서 활동
개인전
2020 동굴의 오후, 금호갤러리, 광주
2019 재현의 재현, 예술공간집, 광주
2017 So Young, 광주극장, 광주
주요 단체전
2022 My Great 2022, 신세계갤러리, 광주
2021 무의식의 그림자, 드영미술관, 광주
2019 겨울동물원, 서울미술관, 서울
2019 시네마광주 인투 더 메모리, 롯데갤러리, 광주
스크리닝
2019 반복되는 밤, 예술공간집, 광주
출판
2019 Pumpkins, 독립출판, 광주
2014 역할극, 독립출판, 광주
Born in 1986
Lives and works in Gwangju
Solo Exhibitions
2020 Afternoon of the Cave, Gwangju
2019 Reproduction of Reproduction, Artspace House, Gwangju
2017 So Young, Cinema Gwangju, Gwangju
Selected Group Exhibitions
2022 My Great 2022, Shinsegae Gallery, Gwangju
2021 Shadow of the Unconscious, Deyoung Museum, Gwangju
2019 Winter Zoo, Seoul Museum, Seoul
2019 Cinema Gwangju Into the Memory, Lotte Gallery, Gwangju
Screenings
2019 Repeating Night, Artspace House, Gwangju
Publications
2019 Pumpkins, Self-Publishing, Gwangju
2014 Role Play, Self-Publishing, Gwangju
Waves and Boats, 2020, cotton yarn, 56 x 38 cm
파도와 보트, 2020, 면사, 56 x 38 cm Waves and Boats, 2020, cotton yarn, 56 x 38 cm
In the Forest 1, 2020, acrylic yarn, 115 x 85 cm
숲속에서 1, 2020, 아크릴사, 115 x 85 cmIn the Forest 1, 2020, acrylic yarn, 115 x 85 cm
In the Forest 2, 2020, acrylic yarn, 115 x 85 cm
숲속에서 2, 2020, 아크릴사, 115 x 85 cmIn the Forest 2, 2020, acrylic yarn, 115 x 85 cm
Cat Doll, 2020, acrylic yarn, 83 x 63 cm
고양이 인형, 2020, 아크릴사, 83 x 63 cmCat Doll, 2020, acrylic yarn, 83 x 63 cm
The Only Living Thing, 2020, acrylic yarn, 83 x 63 cm
유일한 생명체, 2020, 아크릴사, 83 x 63 cmThe Only Living Thing, 2020, acrylic yarn, 83 x 63 cm
《Afternoon of the Cave》(2020, Kumho Gallery) Installation view
《동굴의 오후》(2020, 금호갤러리) 전시 전경《Afternoon of the Cave》(2020, Kumho Gallery) Installation view
《Afternoon of the Cave》(2020, Kumho Gallery) Work video stills
《동굴의 오후》(2020, 금호갤러리) 작업 영상 스틸《Afternoon of the Cave》(2020, Kumho Gallery) Work video stills
《Afternoon of the Cave》(2020, Kumho Gallery) Work video stills
《동굴의 오후》(2020, 금호갤러리) 작업 영상 스틸《Afternoon of the Cave》(2020, Kumho Gallery) Work video stills
Squirrel, 2019, cotton yarn, each 74 x 55 cm
청설모, 2019, 면사, 각 74 x 55 cmSquirrel, 2019, cotton yarn, each 74 x 55 cm
Squirrel (Original Image Soojin Gwak), 2018, cotton yarn, 41 x 21 cm/ Squirrel, 2019, cotton yarn, 41 x 21 cm
청설모 (원화 곽수진), 2018, 면사, 41 x 21 cm/ 청설모, 2019, 면사, 41 x 21 cmSquirrel (Original Image Soojin Gwak), 2018, cotton yarn, 41 x 21 cm/ Squirrel, 2019, cotton yarn, 41 x 21 cm